수필쓰기의 중요한 핵심과 쟁점이 무엇인가?
이에 대한 시사를 제공하고 토론하고 논쟁하는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우리 수필도 이제 창작의 측면에서 지나치게 개인적이거나 일상적인 글쓰기의 유희가 반복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비평의 측면에서도 더 깊이 있고 무게 있는 비평으로 작품에 대한 올바른 평가가 이루어질 때, 수필 문학은 더욱 높은 단계로 발전할 수 있다. 글을 쓰거나 문학을 공부하고 가르치는 것을 업으로 사는 사람이면 누구나 이런 과제에 대해서 체계적인 해답을 제시하고자 하는 유혹을 느끼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평소에 품고 있던 이런 생각이 이 책을 내게 된 기본적인 동기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이 이런 불만을 충분히 해소했다고 생각지는 않는다. 이 책에서 수필 이해와 수필 쓰기에 대한 모든 것이 망라된 것도 아니고, 수필이론을 체계적으로 공부하기 위한 개론서로 구상된 것도 아니다. 수필의 첫걸음을 익힌 독자들이 수필에 대한 더욱 깊은 이해와 창작으로 나아가기 위한 하나의 중요한 단계를 제공코자 하는 데에 이 책의 소임이 있다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그동안 수필 쓰기의 통념적 사유에서 벗어나 수필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관점을 제공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본다.
-‘책머리에’에서
허상문님은
『오늘의문예비평』,『녹색평론』,『문학과 사회』등에 평론을 발표하고,『문예미학』편집위원을 거치면서 평론가로 활동하기 시작하였다.『수필과 비평』, 『에세이문학』, 『에세이포레』, 『에세이문예』,『에세이스트』,『수필미학』등에 다수의 수필평론과 수필을 발표한 바 있다.
문학평론집『오디세우스의 귀환』,『존재와 초월의 미학』,『프로메테우스의 언어』, 영화평론집『우리 시대 최고의 영화』, 산문집과 수필집으로『시베리아는 눈물을 흘리지 않는다』,『타클라마칸의 달』,『실크로드의 지평에 서서』,『낙타의 눈물』, 번역서로『생명의 불꽃, 사랑의 불꽃-D. H. 로렌스의 에세이』등 다수의 저서가 있으며, 신곡문학대상과 한국에세이평론상을 수상한바 있다.
영남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문학평론가·수필가·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목 차
책머리에
제1부
01 수필이란 무엇인가 • 12
02 수필, 무엇을 쓸 것인가 • 28
03 수필, 어떻게 쓸 것인가 • 45
04 수필, 존재의 집짓기 • 63
05 수필, 치유의 글쓰기 • 80
06 일상 언어와 문학 언어 • 97
제2부
01 수필의 수사修辭 • 116
02 수필의 서사성과 서정성 • 140
03 일상성과 개인성 • 157
04 전형성과 총체성 • 175
05 맹목과 통찰의 글쓰기 • 190
06 관조의 눈, 사색의 힘 • 210
제3부
01 미적 경험의 표현 • 224
02 이미지를 통해 보는 세상 • 239
03 물질적 상상력의 형상화 • 252
04 좋은 수필을 위한 필수 요건들 • 265
05 수필 문학의 현재와 미래 • 284
☐ 주요 참고 자료 • 310
'도서 소개 !!!'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시 읽고 싶은 그 시절 뜨거웠던 그 문학 열정! 전북수필가 132분의 등단작품 "나의 등단작"을 소개합니다. (0) | 2019.03.08 |
---|---|
정연희 소설선집04 "여섯째 날 오후"를 소개합니다. (0) | 2019.02.20 |
박성숙님의 하이쿠 선집 "붉은 꽃 지고"를 소개하게되어 행복합니다. (0) | 2019.02.19 |
『우리 시대 이향아의 시 읽기: 해설과 심층분석』 를 소개합니다. (0) | 2019.02.19 |
최공훈 목사님의 신앙 기행산문 시집 『영원을 소유하라』을 소개합니다. (0) | 2019.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