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간 계간문예/계간문예 목차

"인간다운 삶이란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미지의 영역인 문학예술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는 종합예술지 계간문예 2019년 여름호를 소개합니다

신아미디어 2019. 6. 17. 10:11

   계간문예는 "인간다운 삶이란 무엇인가"를 탐구하는 미지의 영역인 문학예술에 기여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는 종합예술지 [회장 서정환, 발행 및 편집인 정종명, 편집주간 차윤옥, 편집  권은경/이경숙, 편집위원 강우식/김년균/김복근/김창완/박덕규/박성배/소재호/손희락/이승하/차윤옥, 기획위원 강수창/강외숙/금동원/김명섭/김운중/김재천/김재화/김희선/박영만/배문석/안남연/이두의/이만근/이영순/전경애/정두리/정무늬/정진수/조경진/조은경/홍금자]입니다. 필자는 영혼이 깃든 정신으로 글을 쓰고, 편집자는 정성이 담긴 손길로 책을 만들겠습니다.

   곁에 두고 볼만한 책이 되리라고 자부하면서, 저희 계간문예와 함께할 여러분들의 성원을 바랍니다.

  

   ◆ 제5회 계간문예문학상을 공모합니다. 1회에는 노유섭 시인과 엄기원 아동문학가가, 2회에는 김창완 시인이, 3회에는 태동철 시인이, 4회에는 방지원 시인과 손영목 소설가가 당선의 영예를 차지했습니다. 계간문예문학상은 시와 소설 부문에서 등단 5년 이상의 기성작가의 신작을 공모합니다. 오는 10월 10일에 마감하고, 12월 중순에 발행되는 계간문예 58호에 심사 결과를 발표합니다. 기성작가들의 많은 참여를 기대합니다.
   ◆ 문단 등용문은 여러 방법이 있습니다. 일간지 신춘문예 공모제는 가장 화려한 등용문으로 주목을 받아 왔습니다. 영향력이 막강한 매스컴 덕분입니다. 계간문예는 2018년 봄호와 여름호에 일간지 신춘문예 시·시조 당선자들의 신작을 기획특집으로 꾸몄습니다. 그리고 2019년 봄호(55호)에 중앙 일간지 신춘문예 당선자 신작특집을 꾸몄고, 같은 맥락에서 이번호에도 2019년 지방 일간지 신춘문예 시·시조 당선자들의 신작을 모았습니다. 우리 시단의 오늘과 내일을 가늠해 볼 수 있는 기획이라고 자부합니다.
   ◆ 계간문예는 2016년 6월 동유럽, 2017년 6월 북유럽, 2018년 5월에 포르투갈과 스페인 문학기행을 실시했습니다. 이 문학기행을 통해 괴테기념관, 헤세기념관, 카프카기념관, 입센기념관, 린드그렌기념관, 주제 사라마구기념관, 세르반테스기념관 등을 방문했습니다. 2019년에는 6월 16일부터 25일까지 그리스, 이탈리아 등지를 돌아보면서 크레타 섬에 있는《그리스인 조르바》의 카잔차키스 생가와 기념관 외에 단테생가, 《로미오와 줄리엣》의 도시 베로나 등 유서 깊은 문학지文學地를 방문합니다.
   ◆ 계간문예는 ‘본지 출신작가 신작특집’을 매호 마련하고 있습니다. 발표 지면을 지속적으로 제공한다는 차원을 넘어 신인들의 역량을 재점검하는 과정이라고 생각합니다. 이번호에도 계간문예신인상을 통해 우리 문학의 내일을 이끌어 갈 신인들의 첫 작품을 선보입니다. 응원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편집주간>


목     차


작가특집 권달웅
신작시 고요한 귀 외
대표작 하학 외
나의 인생 나의 문학  서정시의 미학과 창조력
작가연보


특별기획 1  2019년 신춘문예 시 · 시조 당선자 신작특집
강원일보 시 송연숙 뒤꿈치에 대하여 외
경남신문 시 김향숙 바람의 턴 어라운드 외
경남신문 시조 이하루 목발보다 힘주어 땅을 밟았던 적이 없다 외
경상일보 시 김길전 까나리 액젓 외
경상일보 시조 이희정 아침일기 외
광주일보 시 강대선 사냥개 외
국제신문 시 이규정 자막으로 빠져나온 노인 외
국제신문 시조 박진형 섬, 허공에 뿌리를 내리다 외
농민신문 시 이성배 장미가 붉은골목 외
대전일보 시 임 호 매미가 전해 준 레시피 외
매일신문 시 권기선 죽음과 삶이라는 선택의 딜레마에서 외
매일신문 시조 이현정 과민성대장증후군 외
부산일보 시 권영하 괘종시계 외
부산일보 시조 김나비 거꾸로 가는 계절 외
전북일보 시 한경선 모래가 놓친 길 외
한국경제 시 설하한 사막의 빵 외


특별기획 2 본지 출신작가 신작특집


박연숙 고뇌의 어깨에 평온을 외
이정현 환승 외
채수선 저울 외
최일화 남향집 외
한순안 세상의중심에는씨가있다 외

짧은소설
조은경 한 방울의 눈물

수필
왕기수 이 풍진 세상
유제범 경고음


시·시조
강우식 구면舊面 운주사와불 외
고광자 시가있는 해송의 집 외
김경순 귀소본능歸巢本能 외
김광희 여행길어머니 외
김 권 하늘공방 외
김길자 그렇게 가고 싶다 외
김미정 태풍예보 외
김영숙 지붕 위 가자미 외
김은하 바람의 문장 외
김현신 흰가운 갈대꽃 외
김홍식 그리움 외
박근수 치자꽃 눈물 외
박영춘 개떡 외
박치원 만월 외
배우식 갈참나무, 새 외
송수복 꽃씨 외
이병률 셔츠주머니 외
이상현 웃는 바다 외
이인평 자코메티 생각3 외
이주비 6월 외
임성숙 오늘 외
조규수 청양고추 외
진길자 염전에서 외
채희인 독도를 바라보며 외
최연근 석류2 외
최정숙 뉴스를 보면서 외
최현희 호명호수 외
홍성자 울림 외


단편소설
김정진 소머리를 삶다
박양호 수필, 그 이후의 이야기


특별기획3 짧은소설
김산복 멜롱 요걸 몰랐지
김상렬 가을 사랑
박희주 한사람 건너
양창국 오면 반갑고 가면 더 반갑고
오은주 밥벌이
이인우 화내는 날은
최승랑 옆집여자


동시
박지현 새싹 외
안재식 나의 일기장 외


동화
유영임 대나무의 마음


수필
김미숙 두레박
김상분 명의名醫 노주부魯主簿
김혜식 꽃잎, 립스틱을 바르다
류미월 잔소리
박지연 지도자의 허상
우옥순 아버지의 봄
윤백중 1,500년 전 보물
이명지 참을 수 없는, 쿤테라씨에게
이승철 보릿고개
이은화 밧줄과 바퀴
이해선 신뢰
정경해 카피바라
조영갑 비무장지대
최종익 믿음과 감동
최화웅 가랑코에 꽃대가 올라왔어요
하택례 삶의 종소리


이 계절의 작품
시   평 허형만 모든 것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소설평 이명재 소설문학의 다양한 추구양상
수필평 허상문 떠도는 삶, 고통의 텍스트


작품해설
손희락 영원성이 결여된 생에 대한 직관 — 최영규의 <전어설법錢魚說法>


서평
정종명 소설가가 사는 골목은 어떤 곳일까 — 유선희《소설가가 사는 골목》


문학특강
정소성 프랑스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병리학


독서산책·2
차윤옥 한강《채식주의자》 다시읽기


특별연재
엄기원 남천일기 8회


기획연재
김창완 당신의 문장은 건강합니까 · 12회


기획특집 1 시집 속에서 詩를 찾다
강 만 길 건너기
강만수 밥
강 민 봄날은 간다
김관식 깨꽃
김영곤 나뭇잎
김영재 녹피경전
김용범 사무사
김유조 돈키호테의 풍차
박종해 이슬의 생애
서기호 고추잠자리
이승하 벌목
이향희 만추
정민호 지귀志鬼 형님
조동화 민달팽이
조창환 바다와 새
최창일 허공


기획특집 2 애송시
곽재구 사평역에서
김명섭 도가니탕을 앞에 놓고
김재천 공릉동에 파란비가 내리면
유자효 세한도歲寒圖
홍금자 어머니란 이름의 무게


기획특집 3 짧은 명시
문삼석 그냥
오세영 강물
정두리 어머니의 눈물
조은미 물봉선화
최영욱 反轉


계간문예신인상 당선작 발표
시 변옥균 다림질 외
시 이정희 고복 저수지 외
소설 채인숙 바퀴벌레
수필 김창희 삶의 행간 읽어내기
수필 유인술 외손자
수필 차영자 어머니 유자


계간문예 신인상 작품 모집 안내
계간문예 정기구독안내
계간문예 단행본출판안내
편집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