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책이 찢겨나간 자리에 요철이 남아있었다. 단번에 찢지 못했는지 당뇨병과 가을 병이 찢겨나간 자리가 울퉁불퉁했다. 어떻게 매끈할 수 있겠는가. 엄마의 삶도, 나의 삶도 종이요철마냥 크고 작은 물결이 질 것인데. 높고 낮은 인생물결, 그 위에 시 한 수 띄워놓고 엄마와 남실남실 건너가고 싶다. 그랬으면 좋겠다. 손바닥만 한 공책보다야 출렁대는 풍랑이 시 타기엔 훨씬 재밌을 테니 말이다. 오늘은 엄마가 쪽파 가지런히 붙여놓고 파전을 구우신단다.”
'
나의 시적인 엄마 / 김현숙
일주일에 한 번 엄마가 오시는 날이다. 처음엔 한 달에 두 번만 오겠다 하셨지만 요즘은 수요 장날에 맞춰 꼬박꼬박 다녀가신다. 시장 구경도 하시고, 반찬거리도 장만하시고, 딸내미한테 글 쓰는 것도 배우고, 엄마 말씀대로 안 올 이유가 없는 날이 되어버렸다.
지난 4월 처음 오셨을 때를 돌아보면, 우선 문 열고 들어오시며 ‘숙아’ 하고 부르는 일은 없어졌다. 그렇다고 선생님이라 불러주시지도 않는다. 또 의자 안쪽까지 등허리를 깊게 묻을 만치 자리도 편하게 잡으셨다. 하지만 쪽파며, 연근이 당신 공부할 동안 골까봐 노심초사하는 마음만은 여전하시다. 잠시라도 냉장고에 넣어두자하면 꼭 이러신다. ‘이게 뭐라고 전기 써가며 공을 들이냐’고. 당신 발아래다 모셔놓고 한 번씩 들여다보는 것이 최고임을 안 뒤로, 더는 권하는 일은 없게 되었다. 엄마 방식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면 가르치는 내 입장에서도 할 말이 있지 싶어서이다.
머리를 한 방향으로 틀어놓고 엄마가 벌써 뭔가를 적기 시작하셨다. 오늘따라 엄마 얼굴이 더 부은 것 같아 사정을 물으니, 손도 좀 다르다며 손등을 내미셨다. 부어 있었다. 점심 먹고 우선 집 앞 내과라도 가보자 해놓고, 엄마와 나는 밀린 이야기를 나누었다. “엄마, 얼굴 많이 부었어, 아침 약 드셨지?” 옆에서 들여다보니 눈이 평소보다 표시 나게 부어 있었다. 연필 쥔 손가락도 통통했다. 손을 뻗어 엄마 이마를 짚으려는데, 귀찮다는 듯 내 손을 쳐내면서 “내가 언제 열 있다 카더나.” 역정을 내셨다. 어디가 많이 안 좋으신게 분명했다. 무작정 화부터 내실 분은 아닌데 걱정이 되었다.
‘당뇨병이 뭐냐. 가을 병이 뭐냐, 숙아’ 공책 맨 첫줄에 적어놓은 엄마의 오늘 시詩 제목이다. 보는 순간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 당신 지병을 글감으로 턱 걸어놓고 연필을 만지작만지작 하고 계셨다.
당뇨가 뭔지, 가을이 뭔지, 두 가지 다 나는 이렇다하고 설명해드리지 못했다. 당뇨는 이런 겁니다, 하면서 남의 말 하듯 이야기 할 자신도 없었고, 가을 또한 마찬가지였다. 당뇨가 뭔지 물어놓고 곧바로 던진 ‘가을은 뭐냐’는 질문에다 대고 내가 어떤 답을 드려야하나. 나는 아무 말도 해 드릴 수가 없었다. 더구나 물음 뒤에 저렇게 이름을 불러버리면 나는 길게 말을 잇지 못한다. 엄마가 그러실 때마다 나는 ‘숙이’가 되고 싶지 않았다.
“아~ 내가 뭘 틀린 모양이네.”
아차차 뭔가를 잘못 짚었다는 표정을 지으며, 연필 끝으로 당신 이마를 콕콕 찧으셨다. “시詩란 하고 싶은 말을 자근자근 씹는 말로 쓰는 거제. 시란 죽어도 안 울 것처럼 꾹 참고 아끼며 쓰는 거제. 시란 한꺼번에 다 보여주면 절대 안 되는 거제.” 엄마가 방금 써놓은 첫 문장을 지우면서, 습관인 양 시가 어떠해야 하는지를 외셨다. 그리고 우리 엄마 이어지는 말씀이 “내가 시적으로다 다시 한 번 써보도록 하지.” ‘시적으로다’ 결의에 찬 그 말은 무릎을 탁 칠만한 시를 써보겠다는 엄마의 주문 같은 다짐이다.
또다시 머리를 한 쪽으로 기울인 채 엄마가 고심을 하셨다. 나를 힐끔 보는가 싶더니 뭔가에 계속 골몰하셨다. 내 머릿속은 온통 부은 엄마 얼굴과 손뿐인데, 그래서 속이 상해 죽을 지경인데, 엄마는 요것만, 요것만 하시며 아까부터 자꾸 시간을 축내셨다. 책상 밑에 쪽파 든 비닐봉지를 발끝으로 살살 모으는 것으로 보니 초조하신 모양이다. 그것은 뜻대로 안 된다는 몸짓이다. 일어나 자리를 피해드렸다.
문을 밀고 나오니 세상이 온통 시였다. 지천이 엄마가 좋아하는 시로 그득한데 우리 엄마는 왜 아직도 가난하실까. 저 하늘에 구름도 걷어 오시고, 요구르트 아줌마의 달달한 저 웃음도 걷어 오시지. 예전처럼 경로당에 나가셔서 고스톱도 치고 돈도 따오시지. 엄마가 연필 끝으로 이마를 찧던 모습이 신경 쓰였는지, 머리를 흔들어도 없어지지 않고 자꾸 되살아났다. 내가 엄마를 힘들게 하고 있는 것 같아 죄송했다.
너 잘 하고 있는 것 맞니? 맞아? 바람이 내 귀에 와서 다그치듯 물었다. 나는 아무 대답도 하지 못했다.
문을 열고 들어오니 글방 안이 매운 냄새로 가득했다. 세상에, 엄마가 바닥에 앉아 쪽파를 다듬고 계셨다. 하이고, 아니나 다를까 역시 우리 엄마다. “쪽파 다듬는 게 백배 천배 낫지, 흙 하나 안 묻은 허연 종이를, 씻지도 못하는 그깟 종이 쪼가리를, 뭐 다듬을 거나 있어야 말을 하지.” 멀뚱하게 서 있는 나를 발견하고 민망하셨는지 혼잣말이 쏟아졌다.
“그래서요.” “뭐를 그래서라, 그냥 깨 털 때처럼 싹 다 털었뿟지.” “털긴 뭘 털어요.” 퉁명하게 받아쳤지만 내심은 좋았다. 엄마가 약올라 하시는 게 재미가 있어 엄마 말끝에 하나하나 토를 달았다. “이 아가 밖에 나가서 귀를 묵고 왔나, 눈을 묵고 왔나, 뭐긴 뭐라 내 병 말이지. 당뇨병 말이다. 가을 병 말이다.” 주거니 받거니 엄마와 나는 예전처럼 ‘시 타기’를 하고 있었다. 우리 엄마 시는 이래야 제맛이다.
책상 위에 놓인 공책이 말갰다. 내 기분도 같이 맑아졌다. 당뇨를 무슨 수로 다듬을 수 있단 말인가. 가을 병을 무슨 수로 다듬을 수 있단 말인가. 쪽파라면 몰라도 말이다. 내가 밖으로 나간 뒤 엄마는 아픈 당신 심정을 ‘시적으로다’ 다듬어 볼 요량이셨다. 지우고 쓰고, 또 지우고 썼건만 당.뇨.병 이 세 글자가 공책에 흉터로 남아 엄마를 언짢게 만든 모양이다. 지워도 지워지지 않는 병, 다듬어도 가지런해지지 않는 병, 엄마는 차라리 당신 시를 통째 찢어버리셨다. 깨 털듯 털어버리셨던 거다.
공책이 찢겨나간 자리에 요철이 남아있었다. 단번에 찢지 못했는지 당뇨병과 가을 병이 찢겨나간 자리가 울퉁불퉁했다. 어떻게 매끈할 수 있겠는가. 엄마의 삶도, 나의 삶도 종이요철마냥 크고 작은 물결이 질 것인데. 높고 낮은 인생물결, 그 위에 시 한 수 띄워놓고 엄마와 남실남실 건너가고 싶다. 그랬으면 좋겠다. 손바닥만 한 공책보다야 출렁대는 풍랑이 시 타기엔 훨씬 재밌을 테니 말이다. 오늘은 엄마가 쪽파 가지런히 붙여놓고 파전을 구우신단다.
김현숙 님은 2016 미래에셋 《주변인 문학》 수필부문 대상, 2016 천강문학상 수필부문 대상, 2018 경남신문 신춘문예 수필부문 당선
'월간 좋은수필 > 좋은수필 본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좋은수필』, 월간 좋은수필 2018년 12월호, 신작수필23인선 I 자코메티의 계절 - 문경희 (0) | 2019.05.23 |
---|---|
『좋은수필』, 월간 좋은수필 2018년 12월호, 신작수필23인선 I 애린 - 김희자 (0) | 2019.05.22 |
『좋은수필』, 월간 좋은수필 2018년 12월호, 신작수필23인선 I 오지랖 - 이지원 (0) | 2019.05.21 |
『좋은수필』, 월간 좋은수필 2018년 12월호, 신작수필23인선 I 입, 주름을 말하다. - 김인선 (0) | 2019.05.21 |
『좋은수필』, 월간 좋은수필 2018년 12월호, 신작수필23인선 I 파비아의 새벽 - 김아인 (0) | 2019.05.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