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의 인문학적 소양의 디딤돌, 어린이에게는 꿈을 어른에게는 동심을 일깨우는 『소년문학』 ...
∎ 초겨울로 접어드는 11월입니다. 만추의 정감도 길목마다 그윽해 가을을 향유하기에 참 좋은 때 입니다. 독서하기에도 안성맞춤이지요. 그래서 그 어느 때보다도 본지는 이번 11월에 심혈을 기울여 인문학적 소양의 디딤돌이 될 만한 글들을 준비했습니다. 꼼꼼히 살펴 독서의 즐거움을 마음껏 누리시길 바라 마지않습니다.
∎ 김종상 선생님의 소중한 원고가 이번 호부터 연재됩니다. ‘벌레’를 소재로 한 동시입니다. 선생님은 머리말에서 “벌레에는 예쁜 나비에서부터 징그러운 지네까지 그 종류가 80만 종이 넘으며, 동물 세계의 5분의 4가 넘게 차지하고 있다.”라고 말씀하시면서 인간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존재인 벌레에 대해 동심의 시선으로 생명 존중의 마음을 일깨우는 작품을 쓰시겠다고 역설하십니다. 따라서 앞으로 선생님의 동시는 여러분에겐 또 다른 ‘생태학습’의 생동감 넘치는 현장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인문학적 소양의 디딤돌로서 이번 연재에 본지 또한 큰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 이번 호에도 동시와 동화가 풍성합니다. 정용원선생님을 비롯해 이임영 선생님 등 가을의 아름다음과 동심의 싱그러움을 표현한 주옥같은 동시와 이재순 선생님 등 동시조의 정서를 구현한 작품들이 여러분의 감상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하나하나 읽어보면서 문학의 정취를 한껏 음미하길 바랍니다. 또 있습니다. 소년소설과 동화는 여러분의 일상을 근사하게 형상화한 작품들입니다. 아름다운 꿈이 구현되어 있습니다. 몇번을 읽어도 질리지 않을 것이라 자신합니다. 그뿐만이 아닙니다. 여러분의 독서를 위한 지침서로서 부족함이 없는 박교남 선생님의 글도 흥미를 배가시켜 줍니다. 김종환 선생님의 한자 이야기는 갈수록 인문학적 소양의 깊이를 획득시키는데 걸맞은 코너입니다. 일독을 적극 권유합니다. 12월에 다시 뵙기를 소망합니다.
∎ 본지는 어린이들의 인문학적 소양을 위한 교두보 역할에 충실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관심과 격려를 부탁드리며 본지의 도약을 지켜봐 주시길 소망합니다.
목 차
책머리에
우리나라 풀·꽃·나무ㆍ221 ┃ 소재현 ㆍ 가을 하늘에 물든 용담
지혜가 있는 그림 동시 ┃ 이임영
세계의 동시 ┃ 팡쑤준/이진호 ㆍ 중화민국편(8)
동시의 뜨락
이달의 특선 동시ㆍ1 ┃ 이임영
이달의 특선 동시ㆍ2 ┃ 정희정
이달의 특선 동시ㆍ3 ┃ 채정미
이달의 특선 동시조ㆍ1 ┃ 이재순
이달의 특선 동시조ㆍ2 ┃ 이종복
이달의 특선 동시조ㆍ3 ┃ 이준섭
마음을 살찌우는 동시 ┃ 송계훈, 김용섭, 윤금아, 이수경, 정용원, 김철민
마음을 살찌우는 동시조 ┃ 강동춘, 백남구, 김형진, 심성보, 조근호, 최숙영, 허 일
시로 읽는 해파랑 길ㆍ30 ┃ 조무근
연재 기행 동시조 ┃ 김영기 ㆍ 제주도(8)
동화의 광장
마음을 살찌우는 동화 ┃ 이윤규 ㆍ 네 번째 박사
마음을 살찌우는 동화 ┃ 홍성훈 ㆍ DMZ 국제동물회의
마음을 살찌우는 동화 ┃ 故 정기상 ㆍ 생존 비법
북한의 전래동화(설화) ┃ 장영주 ㆍ 닭 쫓던 개
〈연재 ‘벌레동시’> ┃ 김종상 ㆍ 벌래학교 귀염둥이들
OMNIBUS 나의 이야기ㆍ청소년 소설 2회 ┃ 최균희 · 자유비행의 꿈
교양의 텃밭
어린이 36계ㆍ28 ┃ 선한림 ㆍ 이대도강李代桃僵
중국의 괴담ㆍ145 ┃ 선용 ㆍ 사막의 망령
만화로 배우는 지식 ┃ 유정호 ㆍ 발없는 말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는 101가지 작은 이야기ㆍ65 ┃ 김완기
알쏭달쏭 우리말 ┃ 강대택 ㆍ 황소바람은 느리고 부피 큰 바람이 아니다
옛날 옛적 이야기ㆍ15 ┃ 안 도 ㆍ 밥만 먹는 밥벌레 장군
이런 책 읽어보세요 ┃ 박교남 ㆍ 시간가게
명상만화 ┃ 유정호 ㆍ 만화 말풍선
재미있는 한자漢字 이야기(28) ┃ 김종환 ㆍ 결초보은結草報恩
학교문예 ┃ 제주 서귀포시 대흘초등학교 편
우리들 글솜씨 ┃ 이용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