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간 인간과 문학/인간과 문학 목차

계간「인간과 문학」2018년 봄호, '보통사람의 문학', '마음을 만지는 문학', '같이 가는 문학'을 담은 문예지가 여러분들을 기다립니다.

신아미디어 2018. 4. 23. 19:55

'보통사람의 문학', '마음을 만지는 문학', '같이 가는 문학'을 담은 문예지 「인간과 문학」2018년 봄호가 여러분들을 기다립니다.

  

   •  본지는 이번호로 창간 6주년을 맞이한다. 6년 기념호로 여러가지 편집 계획을 세워봤지만 그것들을 한꺼번에 보여주기보다는 점차적으로 그 색깔을 드러내 보여줄 것이다.

   •  그 하나로 시인이며 쥬얼리 아티스트인 박정원의 '포엠Poem & 쥬얼리Jewelry'와 문학평론가 · 수필가인 유현숙의 '민화와 글'로 본지를 새롭게 열게 되었다. 문인이면서 타 장르의 예술에 종사하는 분에 드리는 권두 화보에 깊은 관심을 부탁한다.

   •  또한 신연재로 이경로의 '중국역사 문학탐방'의 첫 회가 이번호에 게재된다. 이 연재는 이경교시인이 중국문학기행을 통해 체험하고 수집한 자료를 통해서 중국의 역사와 문학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글로 이번호에는 <장강, 중국정신의 젖줄>이 나간다.

   •  이에 반해 1년 동안 연재된 민명자의 '에세이로 시를 만나다'는 이번호로 끝맺고, 다른 테마가 결정되는 대로 새롭게 연재될 것이다.

   •  창간호부터 지금까지 본지에서 주목을 받고 있는 꼭지는 '이 시인을 주목한다'와 '작가재조명'이다. 그동안 이 코너에서 주목받은 시인은 40명, 소설가 20명, 수필가 20명이었다. 이번호 '이 시인을 주목한다'에는 곽문환 시인과 신을소 시인이다. 이 두 분의 시를 문학평론가인 박수빈과 한복용이 작품론을 써 주었다. 그리고 '작가재조명'의 김선주 소설 <박제된 새>를 장경렬 교수가, 조재은 수필가의 작품을 이명진 문학평론가가 작품론을 써주었다. 필진 모두에게 감사드린다.

   •  이번호의 '신인추천'은 태관 스님과 김병무 시인을 허혜정 · 홍용희 문학평론가와 유한근 문학평론가가 각각 신인으로 추천하였다. 이 제도는 한국 문예지사의 전통적인 등용문 제도로 학통 혹은 문통을 계승한다는 점에서 본지가 최근에 이르러 야심차게 기획한 제도이다. 많은 관심을 부탁드린다.

 - 편집부


   

목   차

 

포엠 & 쥬얼리 · 박정원 | 선물
민화와 글 · 유현숙 | 꽃 피고 새 우는

이시인을 주목한다 | 곽문환 · 신을소
작가재조명 | 김선주 · 조재은
신인추천 | 태 관 · 김병무

 

권두에세이 · 길 밖으로부터의 사유⑮
임승빈 | 외투 또는 만년필, 그 겨울길

 

문학과 철학⑨
김은중 | 고르기아스 - 없지만, 있다고 해도 우리는 그것을 알 수 없다

 

이 시인을 주목한다

곽문환 | 눈길[視線] 외4
[작품론] 박수빈 | 멀고먼 길
신을소 | 하루 외4
[작품론] 한복용 | 텅 빈 일상의 허무虛無를 위로하다

 

시 · 동시 · 시조
김선영 | 빈센트 반 고흐씨의 배꽃나무 밭 외1
이삼헌 | 다시타클라마칸 사막에서 외1
문효치 | 회생 외1
김창범 | 목련꽃 외1
황청원 | 그 동백나무숲 외1
공광규 | 천성 외1

전길자 | 짧은 봄날 외1
한윤희 | 바람크로키 외1
전옥수 | 능소화 지고 외1
김선아 | 순무純無 외1
이   샘 | 하루놀이·1 외1
김   생 | 벽 외1
김수진 | 밤수지맨드라미 외1
김세희 | 도처에 비형랑 외1

 

소설
이상문 | 칸나


해외문인특집 | 미국편
김홍준 | 새들의 공중목욕탕 외3

 

작가재조명

소설 · 김선주 | 박제된새
[작품론] 장경렬 | ‘박제된 새’의 비상飛翔을 꿈꾸며
수필 · 조재은 | 삶의 빛깔 외4
[작품론] 이명진 | 문화 소통의 다변성과 수필의 형식추구

 

수필
최원현 | 또 다른 동행
엄현옥 | 인환의 거리를 그리며
피귀자 | 초대하지 않은 손님

유병숙 | 독백
이정이 | 부대찌개
이은화 | 2달러짜리 응원


신인추천
시부문 · 태 관 | 달밥1  외5
[당선소감] 태 관 | 문학이 곧 수행
[심사평] 허혜정 · 홍용희 | “돌이 모진 입 열 때”
시부문 · 김병무 | 헛것을 보다 외4
[당선소감] 김병무 | 쓸쓸하고 건조한 삶이 새롭게 거듭나는 계기가 되었으면
[심사평] 유한근 | 시정신과 표현구조의 전통성
 


Shakespeare in Classic ⑤
송원진 | 템페스트
              셰익스피어의 희곡 - 아데의 오페라

 

영화읽기⑨
정동섭 | 잔혹한 도시에서 부르는 사부곡思父曲
             《비우티풀Biutiful》(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 2010)

 

Art Museum Holic - 미술관에 빠지다⑬
홍석주 | 지도박물관 - 지도는 문명을 만들고, 사람은 세상을 만든다.

 

옛이야기와 치유⑮
송영림 | 개구리왕자

 

특별기획 / 문학기행지도⑩
김재근 | 어린이 대공원에 심은 아동문학가들의 꿈을 만나다


중국역사 문학탐방①
이경교 | 장강, 중국정신의 젖줄
  


 에세이로 시를 만나다④
민명자 | 시로 만나는 식모와 인물들
 


리뷰 / 서평
유한근 | 진심출사眞心出死의 수필 미학
 


신인작품상 안내

해외정기구독 안내

정기구독  안내

 






































----------------------------------------------

발행처: 인간과문학사
110-340 서울특별시종로구삼일대로32길36(익선동,운현신화타워빌딩301호)
전화 (02)3675-3885, E-mail : human3885@naver.com, inmun2013@hanmail.net
공급처: 신아출판사
560-080 전라북도전주시완산구 공북1길16(태평동251-30)
전화: (063) 275-4000 · 6374, FAX : (063) 274-3131, E-mail : essay321@hanmail.net, shina321@chol.com